당뇨병은 유전적 경향이 짙은 병입니다.  당뇨병이 있는 가족의 당뇨병 발생 빈도가, 그렇지 않은 가족의 발생 빈도보다 4〜10배 더 많다고 합니다.

임신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따라서 당뇨병이란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에게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결핍, 비만, 스트레스 및 임신 등의 유발인자가 가해질 때 발생하는 만성 대사성 질환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임신은 당뇨병의 소인을 가지고 있는 부인에게 당뇨병 발생을 촉진하는 계기가 됩니다.

임신 당뇨병의 특징은, 임신기간 중에만 당뇨병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분만 후에는 사라지는게 보통입니다. 하지만 드물게는 분만 후에 도 그대로 당뇨병이 남기도 합니다.

임신 중 당뇨병이 발생하는 빈도는 1,000명의 임신부 중 1〜6.6명꼴로 나타나는데 임신 중 당뇨병을 나타낸 환자의 약 25%가 수년 혹은 십수년 뒤에 영속성의 당뇨병이 발생한다고합니다.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양수과다증이 있었던 경우, 비만한 여성 이 임신한 경우, 사산 혹은 선천성 기형아를 분만한 경험이 있는 경우, 과체중의 아기를 낳았던 경우에는 당뇨병의 발생률이 높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임신 당뇨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위와 같은 원인으로 당뇨병이 발생하면 심하면 임신중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물론 임신중 당뇨병에 의한 사망율은 0.3~0.5%에 불과하지만 임신모가 일반적인 이유로 사망하는 것과 비교하면 약 20배를 차지하는 것 입니다. 그만큼 위험이 뒤따른다는 것이므로 주의해야 하는 것이죠.

태아도 사망 위험이 있습니다.  사산하는 경우가 정상보다 6배 높고, 유산은 약 90~95%가 됩니다. 이것은 임신모가 얼마나 오랫동안 당뇨병을 앓았는가 하는 병력기간에 좌우하며, 임신모가 당뇨병 후유증인 당뇨병성 신장질환을 갖고 있는 것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신생아는 호흡기장애증후군이나 저혈당을 잘 일으키며, 선천성 기형이 전체의 6%에 이르고 그 중에는 심장기형이 제일 많습니다.
또한 당뇨병을 앓는 엄마에게서 출생한 아이가 장래 당뇨병을 일으키는 빈도는 약 22%에 이릅니다. 임신중 당뇨병으로 사망하지도 않고 순산을 했다고 해도 출산 후 원인불명의 호흡곤란증을 일으키는 산모는 정상 산모보다 5~6배 많으며, 뇌성마비를 일으키는 산모는 정상 산모보다 3~5배 많습니다. 혹 거대아 출산에 의한 산도 열상을 초래할 수도 있죠.

따라서 임신중에는 특히 주의해야 하고 전문의와 상의한 후 임신을 계획하고, 임신중 정기검진을 통해 몸을 관리해야 합니다.

가정요법으로는 임신중에 오미자차를 자주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 죽순을 하룻밤 쌀뜨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흐르는 물로 빡빡 씻어 냉장고에 보관하고 1일 12g씩을 물 500~700ml에 넣고 끓여 반으로 졸이면 이것을 하룻 동안 수시로 나누어 마시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가정요법에만 의존하지 말고 전문의와 정기적으로 검진, 상담하 는 것을 잊지 마세요.